이제는 이 단어가 개발자가 아닌 주변 내 지인들에게도 전혀 낯설지 않은 단어가 되었다.
그만큼 클라우드
가 우리 일상에 가져오는 영향은 굉장히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이번 시리즈에서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과 AWS
의 기초개념 및 실습을 포스팅 하고자 한다.
시리즈의 시작으로 각 클라우드의 장단점 및 고려사항부터 써보고자 한다.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과 기존에 정리가 잘 된 많은 글들이 있으니,
혹시 궁금한 것이 있다면 다른 글을 찾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나같은 일반 개발자나,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퍼블릭
클라우드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업체들(AWS, Google, MS, Alibaba, Naver)등은 가상환경 내의 서버를 임대해 준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Pay-as-you-go
으로 사용한 만큼 과금하는 방식을 채택하며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하나의 조직에 전용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는 모델을 프라이빗
클라우드라 한다.(VMware, OpenStack등)
사내 전용 클라우드로써, 각 조직이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나, 퍼블릭 클라우드에 비해 비용이 많이든다.
각 조직에 on-premise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업체에서 off-premise
로 호스팅 될 수도 있다.
조달된 하드웨어와 가상화된 레이어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시간이 절약되는 이점이 존재하지만,
HW 관리자 – 하이퍼바이저 관리자 – SW 관리자 이런식의 구성으로 인해 하이퍼바이저
의 관리가 또다른 비용발생
으로 다가올 수 있다.
또한 각 OS별로 라이센스를 일일히 구매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
이 발생할 수 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일반 사기업이 하기에는 어렵지 않나 싶다.
VPN등의 보안연결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 +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두 개의 클라우드 간의 트래픽은 유동적으로 조정이 가능하여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많은 트래픽이 몰릴경우, 퍼블릭 클라우드로
버스팅
하여 유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진행하게될 포스팅은 위에 언급한 것 중, 당연히 퍼블릭 클라우드인 aws
를 이용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무료
로 사용해 볼 수 있고, 가장 대중적이며 개인이 작은 규모로 해보기에 가장 좋기 때문이다.